
교육목표 21세기 새로운 생활문화의 이해와 건전한 직업인이 갖추어야할 인성을 토대로 디자인 산업현장에서 요구하는 직무와 다양한 인재상의 분석을 통해 첨단기술과 디지털 테크놀로지의 내용과 기법 을 체계적으로 이해하고 이를 창의적 조형 능력과 합리적인 설계능력에 조화시킴으로써 기능적이 며 미적으로 우수한 제품과 공간 환경을 설계할 수 있는 능력과 새로운 정보들을 효율적으로 시각화할 수 있는 현장 실무형 디자인 인력을 양성한다.
교육방침
- 디자이너로서의 인격을 함양하고 산업체에서 요구하는 역할을 담당할 수 있는 전문기술을 습득하게 한다.
- 다양한 형식의 정보를 이해하고 자신의 아이디어를 정확하게 표현할 수 있는 능력을 향상시킨다.
- 컴퓨터를 표현의 도구로 적극 활용할 수 있도록 컴퓨터 응용디자인 교육을 특성화 한다.
- 전문 기술인력 양성을 위해 2개의 세부전공을 운영하여 전문분야별 디자이너를 육성한다.
연혁
- 2012
- 주문식교육 과정 참여(LG디스플레이, LG실트론, LG화학)
- 2011
- 세부전공제 변경(디지털산업디자인 / 시각정보디자인), 제20회 졸업작품전개최
- 2010
- 제19회 졸업작품전 개최
- 2009
- 제18회 산학협동 졸업작품전 개최(㈜오성사-가습기)
- 2008
- 제17회 산학협동 졸업작품전 개최(㈜지영사-전기그릴), Laser Engraving Machine, R.P., Mini NC 도입
- 2007
- 교육인적자원부 주문식교육사업 선정(2007~2008), 제16회 산학협동 졸업작품전 개최(㈜오성사-가습기), 3D CAD Pro/E 도입
- 2006
- 제15회 산학협동 졸업작품전 개최(인디디자인-엘리베이터)
- 2005
- 제14회 산학협동 졸업작품전 개최(진양테크㈜-방화문)
- 2004
- 세부 전공제 실시(제품, 실내, 시각, 패키지)
- 2002
- 제11~13회 산학협동 졸업작품전 개최(구니카-완구)
- 2001
- 제 9회 산학협동 졸업작품전 개최(국립진주박물관-문화상품), 교육부 학과평가 최우수등급 선정, 제10회 산학협동 졸업작품전 개최(국립진주박물관-문화상품)
- 2000
- 산업정보디자인과로 학과명칭 변경
- 1999
- 산업디자인계열로 학과명칭 변경
- 1992
- 제 1회 졸업작품전 개최
- 1991
- 제 1회 입학식
- 1990
- 공업디자인과 신설(정원 : 80명)